병원 | 교수 |
---|
2023 ~ 현재 | 경희대학교의료원 미래전략처장 |
---|---|
~ 2023 | 경희의료원 적정관리본부장 |
~ 2023 | 경희대학교병원 기획진료1차장 |
~ 2023 | 경희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진료과장 |
~ | 경희대학교 병원 로봇수술센터 센터장 |
~ | 경희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
~ | 미국 Stanford University Hospital & Clinics에서 Visiting Professor 연수 |
~ | 미국 Florida Hospital Global robotics Institute 로봇수술 연수 |
~ | 일본 나고야 국립대학 의학부 비뇨의학과 복강경수술 연수 |
~ | 대한 Endourology 학회 편집이사 |
---|---|
~ | 대한 Endourology 학회 총무이사 |
~ | 대한 Endourology 학회 교육이사 |
~ | 대한 Endourology 학회 학술이사 |
~ | 대한비뇨기과학회 학술위원 |
~ | 대한비뇨기과학회 윤리협력위원 |
~ | 대한비뇨기과학회 국제교류위원 |
~ | 대한암학회 이사 |
~ |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이사 |
~ | 대한비뇨내시경로봇학회 부회장 |
~ | 대한의학회 학술위원 |
~ | 보건복지부 암질환심의위원 |
~ | 대한비뇨내시경로봇학회 회장 |
2019.10 | 제6판 비뇨의학 |
---|---|
2017.12 | Bladder Cancer |
2016.05 | 요로결석진료지침서 |
2015.11 | 전립선암 진료지침 |
2010.02 | 요로상피암 진료지침 |
2020.04 | Combined androgen blockade (CAB) versus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agonist monotherapy for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
---|---|
2019.04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hanges in Prostate Cancer Patients after Radical Prostatectomy: A Longitudinal Cohort Study |
2019.03 | Transperitoneal laparoscopic ureteroureterostomy with excision of the compressed ureter for retrocaval ureter and review of literature |
2019.01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Disease-Free Survivors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Only for Prostate, Kidney and Bladder Cancer: Comparison among Survivors an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
2017.07 | The influence of prior laparoscopic experience on learning laparoendoscopic single site surgery: A prospective comparative preliminary study using cystorraphy in a live porcine model |
2017.06 | A prospective, multicenter analysis of pseudocapsule characteristics: Do all stages of renal cell carcinoma have complete pseudocapsules? |
2017.01 |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currence of overactive bladder symptoms after discontinuation of successful medical treatment |
2016.12 | A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of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Neoadjuvant Sunitinib for Inoperable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
2016.04 | Stone-breaking and retrieval strategy during retrograde intrarenal surgery |
2016.02 | Editorial Comment on Radiation dosing in the investigation and follow-up of urolithiasis: Comparison betwee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ractices |
2015.11 | Can Prostate-Specific Antigen Kinetics before Prostate Biopsy Predict the Malignant Potential of Prostate Cancer? |
2015.10 | Comparison of biochemical recurrence in prostate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cal prostatectomy or radiotherapy |
2015.07 | Robot-assisted laparoscopic retroperitoneal lymph node dissection for stage IIIb mixed germ cell testicular cancer after chemotherapy. |
2015.07 | Comparison of postoperativ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between kidney donors and radical nephrectomy patients, and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chronic kidney disease. |
2015.07 | Which Patients Should We Follow up beyond 5 Years after Definitive Therapy for Localized Renal Cell Carcinoma? |
2015.06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pontaneous expulsion of ureteral stones that may predict unfavorable outcomes during watchful waiting periods: What is the influence of diabetes mellitus on the ureter? |
2015.03 | Endourology, the initiative |
2015.02 | Editorial Comment on Predictive factors for flexible ureterorenoscopy requirement after rigid ureterorenoscopy in cases with renal pelvic stones sized 1 to 2 cm |
2014.09 | Design Study on Photoacoustic Probe to Detect Prostate Cancer using 3D Monte Carlo Simulation and Finite Element Method |
2014.06 | Practice Patterns of Urologists in Managing Korean Men Aged 40 Years or Younger With High Serum Prostate-specific Antigen Levels. |
2014.04 | Relating Prognosis in Chromophobe Renal Cell Carcinoma to the Chromophobe Tumor Grading System |
2014.01 |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Hemorrhage After Partial Nephrectomy |
2013.12 | Estimating the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after nephrectomy |
2013.11 | Factors Affecting the Time to Recurrence After Radical Nephrectomy for Localized Renal Cell Carcinoma. |
2013.11 | Predictive Value of Preoperative Unenhanced Computed Tomography During Ureteroscopic Lithotripsy: A Single Institute's Experience. |
2013.06 | The Unidirectional Barbed Suture for Renorrhaphy During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Stanford Experience |
2013.01 | Does the Presence of Hypoechoic Lesions on Transrectal Ultrasound Suggest a Poor Prognosis for Patients With Localized Prostate Cancer? |
2012.08 | Preoperative Factors Predictive of Continence Recovery after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
2012.03 | Characterization of small renal masses less than 4cm with quadriphasic multidetector helical CT: Differentiation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
2011.11 | Renal Cell Carcinoma in a Right Malrotated Kidney |
2011.09 | The Clinical Usefulness of Nuclear Matrix Protein-22 in Patients with Atypical Urine Cytology |
2011.06 |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ileus after urologic laparoscopic surgery |
2011.04 | Comparison of Laparoscopic Radical Nephrectomy and Open Radical Nephrectomy for Pathologic Stage T1 and T2 Renal Cell Carcinoma With Clear Cell Histologic Features: A Multi-institutional Study |
2011.03 | Comparison of laparoscopic versus open radical nephrectomy for large renal tumor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ulti-center results. |
2010.12 |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rostate Specific Antigen Density as a Screening Test of repeat Prostate Biopsy |
2010.11 | Vasectomy is not a simple procedure: Subtotal testicular infarction |
2010.10 |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Sunitinib Malate |
2010.07 |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Open Partial Nephrectomies in T1a Renal Cell Carcinoma: A Korean Multicenter Experience |
2010.07 | Multiple Epidermoid Cysts Arising from the Extratesticular Scrotal, Spermatic Cord and Perineal Area |
2010.07 | Effect of dominant hemispheric stroke on detrusor function in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
2010.06 |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mmunochemotherapy and Target Therapy for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Overview of 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s and the Dropout Rate in Korea |
2010.03 | Comparison of urodynamics between ischemic and hemorrhagic stroke patients; can we suggest the category of urinar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according to type of stroke? |
2009.12 | How many cases are necessary to develop competence for laparoscopic radical nephrectomy? |
2009.10 | 비만도에 따른 개복 신적출술과 복강경 신적출의 결과 |
2009.09 | A Hybrid Treatment for Large Bladder Stones: Laparoscopic Cystolithotomy with Combined Direct Visual Lithotripsy |
2009.08 | 비뇨기과 복강경 수술 후 발생하는 내과적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
2009.06 | Renal Function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Open or Laparoscopic Radical Nephrectomy |
2009.06 | Bilateral Cryptorchidism in Silver-Russell Syndrome: Initial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Orchiopexy |
2009.04 | Acute Pyelonephriti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the Surgical Treatment |
2009.04 | Effects of tissue-cultured mounta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on male patients with erectile dysfunction |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 operative incontinence using ICIQ scores after RALRP | |
Risk factors of sepsis and septic shock from obstructive urolithiasis are different | |
The mechanism of diabetes mellitus-induced ureteral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using a murine model | |
Predictor for uric acid stones: Mean stone density, stone heterogeneity index, and variation coefficient of stone density on single-energy NCCT, and urine pH | |
Tissue Based Biomarkers | |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mmunochemotherapy and Target Therapy for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 |
Hypoechoic lesion on TRUS as prognostic factor for prostate cancer after radical prostatectomy | |
Factors related to postopierative continence and methods to improve early contininence outcomes | |
Bilateral cryptorchidism in silver-russell syndrome: the first experience of laparoscopic orchiopexy | |
The factors affecting non-urologic postoperateive complications after a laparoscopic surgery in urologic area | |
How many cases are required to develop competence for laparoscopic radical nephrectomy procedures? | |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한환자에서 처음부터 침윤성으로 진단된 방광암과 표재성에서 침윤성으로 진행된 방광암의 임상적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 |
전이성신세포암에서 sunitinib malate 투여후 발생한 치명적인 부작용3례 |
비뇨의학과 전승현, 이선주, 신경과 박기정, 이비인후과 여승근 교수 - 부모님 영양제 구입 전 먼저 물어봐야 할 건강 질문 4가지
2024-04-01
비뇨의학과 전승현, 이선주, 신경과 박기정, 이비인후과 여승근, 내분비내과 박소영, 정신건강의학과 선제영 교수 - 자꾸 되묻고, 깜빡하시는 부모님… 큰 병 아닌지 걱정된다면
2024-02-14
비뇨의학과 전승현, 이선주, 신경과 박기정, 이비인후과 여승근, 정신건강의학과 선제영 교수 - 부모님 건강, 영양제보다 더 값진 질문 4가지
2024-02-06
비뇨의학과 전승현 교수 - 전립선도 비만해져요 아빠들에게 찾아온 ‘전립선 비대증’ ABC
2023-11-06
비뇨의학과 전승현 교수 - 전립선 비대증 & 전립선암 아빠에게 찾아온 ‘불청객’ 쫓아내기
2023-05-15
비뇨의학과 전승현, 방사선종양학과 김영경 교수 - ‘전립선암’, 중년 남성이라면 간단한 혈액검사로 대비하세요
2023-02-17
비뇨의학과 전승현 교수 - 간만에 만난 부모님, 혹시? … 5060 남성 발명 많은 '전립선 질환'
2023-01-18
비뇨의학과 전승현 교수 - “전립선암·신장암, 로봇수술로 합병증 걱정 덜고 일상으로”
2022-10-31
비뇨의학과 전승현 교수 - 악성도 높은 발병률 10위 ‘신장암’ ‘로봇수술’로 암 덩어리 정교하게 절제
2022-06-28
이비인후과 여승근, 비뇨의학과 전승현, 신경과 박기정 교수 - 안부 전화 드려 부모님 건강 상태 확인해야
2022-02-03
감사와 응원의 메시지를 전해주세요.
나도 작성하기한승현 교수님께 진료를 받으면 우선 큰 병을 앞두고 있는 환자에게 마음 편하게 해주시며 앞으로의 치료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과 함께 한발 앞선 치료로 불안감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어 (지금도 3개월마다 정기 검사 중입니다) 교수님께 진료 받는 것을 큰 행운이라 생각하며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2025-06-16
후마니 타스(Humanities) 우리는 살다 보면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많은 일들을 겪게 된다. 한순간 자존감이 무너지는 일부터 피폐한 아픔을 겪는 일 등이다. 그럴 때마다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고 긍정에 삶을 이어갈 때 상처의 나음과 함께 고통에서 벗어나리라 믿는다. 그러기에 희망의 빛줄기가 가늘어도 실망하지 않으며 그 빛을 쫓다 보면 언제인가 행복한 기쁨을 맛보게 될 것이다. 추위가 물러가기 전인 겨울 끝자락 2024년 2월 27일 아침 9시, 두 달 전 한 수술 예약은 그동안 밀린 수술과 전공의 파업으로 기다려야만 했다. 다행히 오늘 경희대 병원에 입원 수속을 마쳤다. 안도하는 마음에 "후마니 타스(Humanities)"라 불리는 암 병동인 본관 902호 간호 간병 통합 병실에 입원하였다. (후마니 타스 란 라틴어로 인간다움이란 뜻) 경희대 병원 암 병동 이름을 후마니 타스(Humanities) 라 붙인 것에 대해 궁금함이 느껴졌다. 조심스럽게 생각해 보니 일반인이 꺼려 하는 무서운 암이란 병에 걸렸어도 끝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놓지 않으려는 의미가 담겨 있지 않을까 싶었다. 암이란 무엇일까? 사전에는 생체 조직 내에서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되어 악성 종양을 형성하는 병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한편 암은 고통과 암울한 시간 속으로 우리를 이끌며 괴롭히는 병이다. 어떻게 보면 인내의 한계를 시험하며 마지막에는 새로운 삶을 선택할 기회를 주려는 건지도 모른다. 두려운 마음보다 평온함은 무엇일까.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하신 하나님 말씀(이사야 41장 10절그동안 )을 믿기 때문이다. 2년 전인 2023년 10월 6일 점심 식사를 마치고 오후 근무에 들어가기 전 화장실에서 소변을 볼 때였다. 단풍색보다도 더 붉은 오줌 줄기에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처음 겪는 일이었다. 바로 사무실 근처 비뇨기과를 찾았다. 몇 가지 검사 끝에 의사는 소견서를 써주면서 빨리 큰 병원에 가길 권하였다. 생각지 않은 일로 순조롭던 내 삶에 패턴이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그렇게 시작된 경희대 병원에서 두 달간의 지루한 각종 검사 (피검사, MRI, CT, PET-CT, 조직 검사)를 받았다. 그동안 짧은 가을은 스쳐 지나가듯 내 삶에서 멀어져 갔다. 최종 검사 결과는 전립선암이었다. 아버님을 위암으로, 동생을 담도암으로 떠나보낼 때 보다 더 담담한 마음이 들었다. 다행히 병기는 1기로 진단이 나왔다. 그날부터 수술 전까지 기도 속에 긴 기다림은 시작되었다. 우리의 삶은 랜덤 박스처럼 보이지 않은 시련에 빠질 때도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하며 하나하나 풀어 나가다 보면 분명 해답을 얻는 날도 있을 것이다. 창밖으론 떠나가는 겨울이 아쉬운 듯 추적추적 겨울비가 내리고 있다. 입원 첫날인 2월 27일 저녁은 죽으로 대신하였다. 고난일 때 시간은 길게 느껴진다고 했다. 잠자리가 바뀌고 이틀 후 큰 수술이 잡혀있는 탓인지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다. 다음 날인 28일 아침 6시부터 대장을 비우는 하프랩을 500ml 물통에 담아 4통을 마셨다. 아침 회진 시간에는 내일 수술 일정에 대해 전승현 교수님께서 간단히 설명을 해주셨다. 수술 준비로 식사는 금식으로 이어져 수액과 영양제 2개를 달고 하루를 보냈다. 오후에는 수술 시 항생제 투여 이상 반응 검사를 하였다. 하루에 3번 재는 혈압도 141/82, 128/80, 121/77로 아침 혈압만 조금 높았을 뿐 정상이었다. 간호 간병 병동은 일반 병실과는 달리 간호실에서 모든 것을 케어해주기에 일반인 출입은 통제되고 있었다. 면회를 위해 병실에는 들어갈 수 없었다. E/V 입구에서 필요한 물품을 전달받으며 잠시 이야기를 나눌 뿐이었다. 수술 전날과 수술 다음날까지 3일 금식하여야 하기에 아마 몸무게가 2-3 킬로는 줄지 않을까 싶다. 병실 옆 창밖으로 보이는 후마니 타스 (Humanities) 간판 불도 꺼진지 오래였다. 그렇지만 내일 수술을 앞둔 밤이라서 그런지 쉽게 잠들지 못하고 있었다. 성경을 펴 보아도 쉬이 마음은 진정되지 않았다. 어느덧 시계는 4시 30분을 가리키고 있었다. 당직 간호사는 병실 벽 쪽에 달린 작은 형광등 불빛이 비친 탓인지 살며시 침대 커튼을 열어보고는 돌아갔다. 아직 영하권의 찬 기운이 남아있는 2024년 2월 29일 수술 당일 아침이었다. 병실은 수술에 앞서 간단한 검사와 준비로 간호사들의 움직임이 바빠졌다. 8시 30분 이제 수술실로 들어가니 준비를 하라는 간호사의 연락을 받았다. 긴장하며 누워 기도하는 사이 병실 침상은 수술실로 향하고 있었다. 처음 들어가 본 수술실은 조용하며 밝은 분위기였다. 수술은 로봇 수술로 진행한다고 하였다. 간호사는 수술실 밖에서 기다리는 가족을 위해 실시간 진행 내용을 문자로 알려준다고 했다. 이름을 묻는가 싶더니 마취가 시작되었는지 정신이 혼미 해졌다. 얼마나 시간이 지났을까. 아랫배에 다시 채울 수 없는 구멍이 생긴 것 같은 심한 통증 속에 눈을 뜨니 병실이었다. 환자복을 살며시 젖혀보니 배에는 여섯 개의 수술 구멍이 아픔을 동반하고 있었다. 아픔을 호소하니 통증 주사를 주는 것 같았지만 통증은 가시지 않았다. 사람은 가장 무기력하고 절망스러운 순간에 잃어버린 것을 찾는다고 했던가. 바로 믿음과 안도의 손길이다. 수술 이틀째 아직 가스가 나오지 않아 금식은 풀리지 않았다. 답답해하며 힘들어하는 내 모습이 안쓰러웠는지 간호사는 장의 움직임이 있는지 청진기를 배에다 대어보며 소리를 들어보곤 하였다. 수술 3일째, 새벽 5시 30분에 체크한 혈압은 102/47이란다. 통증은 있지만 혈압은 조금 내려갔다. 수술 부위인 배를 웅켜잡고 조금씩 걸은 덕분인지 기다리던 가스도 나왔다. 다행히 금식도 풀렸다. 수술한 지 4일차에 오른팔에 주렁주렁 매달린 링거 줄 또한 전부 제거하니 한결 움직임이 편해졌다. 어느덧 수술 5일차가 되고부터는 조금씩 병실 복도를 오가며 걷기 시작하였다. 그래도 수술 부위는 여전히 아팠다. 무통주사를 놓아주기를 부탁하였다. 그러나 전공의 처방이 없어 안된다고 한다. 6일 차부터는 먹는 약으로 처방이 이루어졌다. 수술한 지 7일차, 아침에 실시한 요도 관 이음부 검사도 모두 정상으로 나왔다. 예보 없이 닥치는 국지성 호우처럼 암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늘어난 기대 수명 속에 평생을 건강하게 살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만 생각처럼 나만 피해 가길 바랄 수는 없다. "사람은 평생을 사는 것이 아니라 몇 년의 몇 달의 몇 날을 사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순간을 산다". (보리스 파크 테리나스 러시아 시인)라고 했다. 다만 그 몇 개의 삶을 우리는 병들지 않는 몸으로 건강하게 살기 바랄 뿐이다. 몇 달 전만 하여도 나 자신 암 병동에 걸린 후마니 타스 (Humanities) 간판 불빛을 바라보며 병상에 누워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 하였다. 지금 이 평온한 마음과 오늘이라는 하루가 얼마나 많은 불안한 시간과 불확실성을 뚫고 찾아온 것인지 누가 알겠는가. 문득 창문을 열고 바라보니 도시의 붉은 야경이 저 멀리 파도치듯 밀려오고 있음을 느껴본다. 병실 차창으로 스며드는 아침 햇살이 오늘따라 밝은 기운을 느끼게 한다. 3월도 어느덧 일주일이 지났다. 그렇지만 아침뉴스는 오늘도 꽃샘추위 속에 영하권이라 한다. 입원 11일째 날인 3월 8일 전승현 교수님 아침 회진 시 염려한 다른 곳 전이 검사도 모두 정상이라는 말씀에 안도감을 가질 수 있었다. 어느 구름에서 비가 내릴지 모르는 것처럼 생로병사 (生老病死)는 누구도 피해 가지 않는다. 이제 힘들었던 수술과 치료를 모두 마치고 가벼운 마음으로 퇴원 준비를 한다. 무엇보다 집도하신 전승현 교수님을 만난 것은 큰 행운이라 생각하며 마음을 담아 감사를 드린다. 그동안 염려하며 지낸 가족들 그리고 기도하며 찾아주신 주위 여러분의 사랑 또한 잊지 않고 있다. 또한 전공의 파업 속에서도 환자들의 건강을 위해 수고하신 남은 의료진, 친절히 간호해 주신 9층 간호 병동 간호사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25년 6월 15일 이종영
2025-06-15
잠시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